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89

투자유치: 투자자 계층구조와 초기기업의 투자유치 전략 1. 개요 투자유치에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초기기업의 경우 투자유치 사다리에서 상단의 투자유치를 먼저 받을 경우 하단의 투자유치를 받지 못해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유치 기업은 투자유치 사다리의 하단부터 순차적으로 투자를 유치함으로써 기업의 성장을 이끌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투자유치의 형태와 ‘투자자의 계층구조 혹은 투자 사다리’와 ‘초기기업의 투자유치 전략’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2. 투자자 계층구조와 투자유치 전략 "투자유치에도 전략이 필요하다." 1) 국내 투자유치 형태 국내의 경우 기업의 대표자는 보통주 형태의 투자유치를 선호하는 반면, 투자자는 투자수익 극대화와 IPO를 통한 EXIT를 선호하여 보통주 형태의 투자유치를 선호하지 않습니다. 이런 이유로, 국내의.. 2023. 8. 13.
연결재무제표: 미실현 손익 발생 및 상.하향 거래 시 지분법 손익 계산 1. 개요 지배기업과 종속기업은 상호간 하향 및 상향 내부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상.하향 내부 거래는 미실현 손익의 발생을 수반할 수 있습니다. 하향거래는 지배기업이 종속기업에 재고자산, 자금대여, 그리고 유형자산을 판매할 경우에 발생하는 반면, 하향거래는 반대의 경우입니다. 아래에서, 종속기업 순자산의 장부금액과 공정가치가 일치하지 않으면서 내부거래로 인한 미실현 손익이 있을 경우의 지분법 손익 계산에 대해서 살펴봅니다. 2. 미실현 손익 발생 & 내거거래(상.하향거래)시 지분법 손익 계산법 1) 내부 미실현 손익과 지분법 적용 간의 관계 지배기업과 종속기업은 재고자산, 자금대여 그리고 유형자산 등 다양한 내부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가령, 지배기업과 종속기업은 간의 재고자산 내부거래는 마치 .. 2023. 8. 6.
투자유치와 IR: 지분율 계획 수립에 따른 투자유치 금액 계산 방법 1. 개요 기업의 CFO 혹은 재무책임자는 회사의 성장 로드맵에 따라 투자유치를 고려합니다. 그런데, 투자유치는 대표자 혹은 최대주주의 지분율 희석을 수반합니다. 이런 이유로, CFO 혹은 재무책임자는 경영안정성 혹은 경영권의 확보 차원에서 투자유치에 따른 지분율 변동 계획을 수립해야 하고 이 지분율 계획에 따른 투자유치 금액(혹은 투자 밸류)을 역산할 수 있어야 합니다. 아래에서, 목표 지분율 계획에 따른 투자유치 금액(혹은 밸류)을 역산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봅니다. 2. 지분율 계획에 따른 투자유치 금액 역산정 방법 1) 지분율 약식 시뮬레이션 방법 기본가정: - 대표자 혹은 최대주주 지분 목표: IPO시점 약 34% - 투자유치: IPO전까지 3회 (올해 공장설립 50억 원, 내년 사업확장 100.. 2023. 7. 25.
투자유치와 IR: Exit_밸류의 중요성과 밸류를 잘 받는 방법 1. 개요 밸류(Value)는 투자유치 관련 IR자료의 끝부분인 ‘EXIT’ 부분에 제시됩니다. 밸류는 경영안정성 특히, 경영권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유치를 계획하는 기업은 타당하면서도 회사의 미래가치를 충분히 반영할 수 있는 선에서 밸류를 제시해야 합니다. 아래에서, 밸류의 중요성과 밸류를 높이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봅니다. 2. 밸류의 중요성과 밸류를 높이는 방법 1) 밸류의 중요성 밸류는 기업가치 혹은 주식가격을 의미합니다. 투자유치를 계획하고 있는 기업은 밸류가 높을 경우 대표자 혹은 최대주주는 지분율 희석을 줄이면서 많은 투자금액을 유치할 수 있습니다. 2) 사례 1차투자: 설립시 대표자 지분율 100%, 50억원 밸류로 엔젤투자자로부터 10억원 투자유치 투자자 지분율: 16.7% (1.. 2023. 7.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