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89 유능한 리더의 성과창출 원리2: 성과지향적 업무 수행 방법 1. 개요 성과를 내는 유능한 리더는 결과형 목표를 설정한 후에 과정형 목표를 인과적으로 정렬함으로써 목표의 구조화와 구체화에 집중합니다. 이는 '유능한 리더는 효과성과 효율성 관점에서 성과지향적으로 업무를 수행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아래에서, 목표설정 혹은 성과관리 관점에서 유능한 리더의 성과지향적 업무수행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2. 성과지향적 업무수행 방법론 1) 성과지향적 업무수행이란 성과지향적으로 업무를 수행한다는 것은 팀이 성과를 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팀이 성과를 낸다는 것은 팀의 미션을 효과적 및 효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상위조직의 성과향상에 더 많이 기여하는 것으로 팀의 역할과 책임인 미션의 범위 내에서 핵심업무 활동을 수행하여 최대한의 성과를 창출해 내는 것을 의미합니.. 2023. 10. 10. 팀 목표설정 시 목표 구조화와 목표 구체화를 위한 핵심 사항 1. 개요 목표를 구성하는 항목 모두를 목표설정서 상에 담는 목표의 구조화와 설정된 목표를 바람직한 목표 설정원칙, QCDQ관점 그리고 중점과제 세분화법을 이용하여 구체화하는 목표의 구체화는 리더의 목표설정 스킬 중에서도 핵심에 해당합니다. 아래에서, 리더의 목표설정 스킬을 향상시켜 주는 목표의 구조화와 구체화를 위한 핵심원리에 대해서 상세하게 살펴보겠습니다. 2. 목표의 구조화와 구체화 1) 목표의 구조화 목표의 구조화란 목표의 구성항목 즉, 결과형 목표, 중점과제로서의 과정형 목표, KPI에 해당하는 핵심성과항목과 목표수준 그리고 우선순위 혹은 중요도를 의미하는 가중치를 빠짐없이 목표설정서 상에 설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목표의 구조화는 상위조직의 목표에 팀의 목표를 정렬시키는 수직적/인과적 .. 2023. 10. 5. 유능한 리더의 성과창출 원리 1: 팀 경영자의 역할 인식 1. 개요 성과를 내는 리더는 팀 경영자의 역할 인식에 주목합니다. 피터 드러커는 "팀 경영자의 첫 번째 역할을 상위조직의 성과향상에 기여하는 자율적 목표설정이다."고 하였습니다. 자율적 목표는 목표합의를 통한 목표의 내재화, 자주적 학습 및 책임감 있는 업무수행을 가져오는 내적 동기요인이기 때문입니다. 아래에서, 팀 경영자의 역할에 대해서 상세하게 살펴보겠습니다. 2. 팀 경영자의 역할 "유능한 리더는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스스로 성과를 창출한다." 1) 공동의 목표달성을 위해서 공헌 "팀내 혹은 팀 간 갈등을 줄이고 협력하라." 팀은 조직의 공동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협력하고 상위조직의 성과향상에 직접적으로 공헌해야 합니다. 그런데 팀은 목표를 중점과제로 구체화하여 노력을 집중을 집중함으로써 공동의.. 2023. 9. 26. 리더의 임파워먼트(empowerment) 발휘 방법 1. 개요 임파워먼트는 업무환경에서 구성원에게 힘을 실어주는 “목표설정, 실행점검과 코칭, 권한위임, 인정(칭찬과 감사표시), 그리고 평가보상” 등의 리더 행동을 의미합니다. 또한, 제대로 된 혹은 목표다운 목표설정 행동은 리더의 다른 임파워먼트 행동 요소를 가능하게 하는 전제조건입니다. 이런 이유로, 아래에서, 성과관리 측면에서의 리더십 임파워먼트 발휘와 그 효과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2. 임파워먼트의 발휘와 효과 1) 임파워먼트 발휘의 핵심요소 "좋은 목표설정과 부하육성으로 구성원을 임파워먼트 하라!" 콩고와 카눈고(J. Conger & R. Kanungo, 1988)는 업무환경에서 구성원의 무력감을 증가시키는 잠재요인을 “비현실적인 목표와 의미 없는 목표 혹은 업무“로 규정하였습니다(출처1). .. 2023. 9. 22. 이전 1 ··· 3 4 5 6 7 8 9 ··· 2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