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89

직장에서 조직 구성원의 이타적 행동을 어떻게 촉진할 것인가? 1. 서언  이타적 행동은 시대를 초월하는 장점을 갖고 있다. 이타적 행동은 직장 내 소통과 협력 그리고 신뢰 강화를 통해 조직을 끈끈하게 묶어주는 역할을 한다. 모든 사람들은 일상생활에서 이기적 행동양식보다 이타적 행동양식의 가치를 더 중요시한다. 즉, 모든 사람들은 이타적 행동양식의 가치를 삶의 가장 중요한 원칙으로 인식한다. 그 중에서도 베푸는 것을 가장 중요시한다. 그럼에도, 사람들은 직장에서는 이타적으로 행동하는 것을 꺼려한다. 왜 그런 것일까? 그렇다면 어떻게 이타적 행동을 촉진할 것인가? 아래에서, 사례를 통해 사람들이 직장에서 이타적 행동을 꺼려하는 이유와 이타적 행동을 촉진할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2. 이타적 행동을 꺼려하는 이유1) 사례: 슈바르츠의 가치와 행동양식 연구  심리학자.. 2024. 7. 23.
인간관계 개론 1: 착한 사람(giver)은 꼴찌로 살 수 밖에 없는가? 1. 서언  아담 그랜트는 그의 저서 에서 우리가 비즈니스 세계에서 만나는 사람의 유형을 기버, 매처 그리고 테이커 등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한다. 많이 주고 적게 받는 기버는 자신을 희생하여 타인, 자신이 속한 팀, 혹은 세상을 이롭게 한다. 그럼에도, 양보하고 배려하는 기버는 꼴찌로 살 수 밖에 없는 것일까? 아래에서, 사례를 통해 기버(giver)가 성공하는 이유와 시사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2. 기버의 성공 사례와 성공 비결1) 세 가지 부류의 사람  우리는 비즈니스 세계에서 누군가를 만날 때마다 ‘상대에게서 얻을 수 있는 것은 최대한 얻으려고 해야 할까? 혹은 되돌려 받을 것은 생각하지 않고 주어야 할까? 혹은 받은 만큼 돌려주어야 할까?’와 같이 선택을 한다. 그런 선택을 통해 인간관계를.. 2024. 7. 16.
리더십 임파워먼트: 건강한 조직구축 행동원칙 2_명료함의 창출_조직 핵심가치 명료화 1. 서언  건강한 조직 구축을 위한 두 번째 행동원칙은 ‘명료함의 창출’이다. 명료함 창출은 갈등과 분열이아닌 조직의 결속과 협업을 다지는데 목적을 둔다. 핵심가치는 명료한 경영과 소통을 위한 방법론 중 하나이다. 핵심가치는 조직의 정체성, 조직운영 원칙 혹은 경영원칙 혹은 행동규범으로서 구성원들이 자율적으로 의사결정하고 행동하는 기준을 제공한다. 아래에서, 명료함의 창출을 위한 여섯 가지 핵심질문 중 세 번째 질문에 대해 살펴본다.  2. 핵심가치 명료화 방법론 최고경영팀의 명료함 창출을 위한 핵심 질문은 여섯 가지 질문으로 구성된다. 질문 1. 우리는 왜 존재하는가? (미션; 목적, 책임; 왜 일하는가?)질문 2. 우리는 무엇을 제공하는가? (미션; 제공가치, 역할; 무엇을 하는가?)질문 3. 우리.. 2024. 6. 20.
구성원 스스로 일하고 성과를 내게 하는 조직 성과관리 방법 1. 개요  많은 조직의 리더는 구성원들이 스스로 일하고 책임감 있게 업무를 수행하여 성과목표를 달성해 주기를 바란다. 그런데, 조직 구성원들은 바쁘다는 이유로 성과목표 달성과 같은 중요한 일을 미룬채 월마감 및 잔무 정리에 전념한다. 왜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가? 아래에서 목표관리 측면에서 해답을 살펴본다.  2. 김사장의 고민   김사장은 직원들이 바쁘다는 이유로 중요한 일을 수행하지 않고 지시한 업무를 제 때 하지 않아 고민이 많다. 김사장과 정과장의 대화를 통해 김사장의 고민을 살펴본다.  김사장: 정과장! 내일까지 고객 제출용 견적서를 작성하여 보고하세요..정과장: 월마감 및 기타 잡무로 아직까지 못했습니다.김사장: 김사장은 고객에게 무슨 말을 해야 할지 걱정이다. 그럼, 이번 달에 계획된 거래처.. 2024. 6.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