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89 스타트업 자금조달을 위한 VC 투자유치 전략 1. 개요 스타트업은 성장 단계별 필요한 자금조달을 위하여 모태펀드와 자펀드의 결성과정을 이해하고 VC가 보유하고 있는 펀드의 투자목적 분야가 자사의 사업분야와 일치하는가 그리고 최근에 결성된 자펀드를 보유한 VC를 전략적으로 접촉해야 합니다. 아래에서, VC펀드의 결성과정과 스타트업의 투자유치 전략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봅니다. 2. 펀드 결성과정 및 출자사업 구조 1) VC의 펀드(투자조합) 결성과정 스타트업은 투자유치 금액, 대표자의 성향이나 고민거리 등을 종합적을 고려하여 VC를 선택하여야 합니다. 보통 모태펀드는 정부기관이 공동으로 출자한 펀드를 의미하며, 한국벤처투자㈜는 모태펀드의 위탁운영사가 됩니다. 또한, 위탁운영사는 자펀드를 결성하여 투자재원을 운영하며, VC는 업무집행조합원으로서 자펀.. 2023. 9. 14. 팀장 리더십: 과제 발굴과 목표 구체화의 도구, QCDQ관점 1. 개요 QCDQ관점은 바람직한 목표설정의 원칙(보통 SMART 목표설정 원칙)과 함께 설정된 목표를 구체화하는 데 사용되는 매우 유용한 도구입니다. 물론, QCDQ 관점은 목표(중점과제 혹은 과정형 목표)로서의 과제를 발굴하는데 사용되는 미시적 목표설정 방법론입니다. 따라서, 팀 혹은 팀장은 목표구체화의 도구로서 QCDQ관점을 사용합니다. 2. 과제발굴과 목표구체화의 도구, QCDQ 관점 팀은 MBO식 통합형 목표설정 방식에서 결과형 목표와 과정형 목표를 인과관계로 구조화 즉, 정렬함으로써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수행하는 업무에서 과제를 손쉽게 발굴하고 설정된 목표를 구체화하는 방법론은 없을까요? 이런 경우, 팀은 QCDQ 관점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즉, QCDQ관점은 수행중인 핵.. 2023. 9. 2. 팀장 업무리더십: 팀 목표 설정 관련 공통 핵심 이슈 1. 개요 성과를 내고자 하는 리더는 “일상적 업무를 과정형 목표(중점과제)로 설정하였는가?. 결과형 목표설정에 집중하고 있지는 않는가?, 실행계획을 중점과제로 설정하지는 않았는가?, 상호보완적 결과형 목표는 설정했는가?, 핵심성과항목은 적절한가?, 과정형 목표인 중점과제는 중복되어 설정하지는 않았는가? 그리고 미션과 업무분장의 범위내에서 목표를 설정했는가?”에 대해서 질문을 던지고 스스로 답할 수 있어야 합니다.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2. 팀 목표설정 공통 핵심이슈 1) 일상적 업무를 과정형 목표로 설정 모든 팀은 “일상적인 업무는 업무목표가 아니다.”라는 사실에 주목해야 합니다. 가령, 발전소에 제어시스템을 판매하는 영업팀이 매출목표 달성률 및 목표치 100억원을 결과형 목표로 설정한.. 2023. 9. 2. 연결재무제표: 지분법 적용시 추가적 고려사항 1. 개요 연결회계 담당자는 종속기업의 순자산 장부금액과 공정가치가 일치하지 않으면서 지배 및 종속기업 간 내부거래 관련 상. 하향 내부거래로 인한 미실현 손익이 있을 경우, '미실현 손익을 먼저 계산한 후, 당해 연도의 내부거래로 인한 지분법이익을 계산'해야 합니다. 다만, 회계담당자는 당해 연도의 지분법 이익을 계산할 때, 하향거래에 대해서는 '미실현손익 전체를 차감'하고, 상향거래에 대해서는 '부분제거'해야 합니다. 이외, 아래에서 일반기업회계기준 상 지분법 적용시의 추가적 고려사항에 대해서 살펴봅니다. 2. 지분법 적용시 추가적 고려사항 1) 지분법 적용시 사용할 종속기업의 재무제표 (1) 신뢰성이 검증된 재무제표의 사용 지분법 적용시 적용하는 종속기업(유의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피투자기업 .. 2023. 8. 28. 이전 1 ··· 4 5 6 7 8 9 10 ··· 2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