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성과관리리더십/업무 리더십14

인간관계 개론 1: 착한 사람(giver)은 꼴찌로 살 수 밖에 없는가? 1. 서언  아담 그랜트는 그의 저서 에서 우리가 비즈니스 세계에서 만나는 사람의 유형을 기버, 매처 그리고 테이커 등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한다. 많이 주고 적게 받는 기버는 자신을 희생하여 타인, 자신이 속한 팀, 혹은 세상을 이롭게 한다. 그럼에도, 양보하고 배려하는 기버는 꼴찌로 살 수 밖에 없는 것일까? 아래에서, 사례를 통해 기버(giver)가 성공하는 이유와 시사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2. 기버의 성공 사례와 성공 비결1) 세 가지 부류의 사람  우리는 비즈니스 세계에서 누군가를 만날 때마다 ‘상대에게서 얻을 수 있는 것은 최대한 얻으려고 해야 할까? 혹은 되돌려 받을 것은 생각하지 않고 주어야 할까? 혹은 받은 만큼 돌려주어야 할까?’와 같이 선택을 한다. 그런 선택을 통해 인간관계를.. 2024. 7. 16.
파트너십과 임파워먼트 : 상황대응리더십 교육은 효과적인가? 1. 서언  시대의 변화는 ‘리더십 행동’의 변화를 요구한다. 사람들은 작금의 시대를 ‘VUCA’, 혹은 ‘Hyper-competitiveness’의 시대라고 말한다. 오늘날, 리더들은 부하의 발달단계에 따라 적절한 리더십을 효과적으로 발휘하여 부하를 ‘고성과자’로 육성해야 한다. 많은 기업은 ‘상황대응리더십은 과연 효과적인가?’라는 점에 의문을 품는다. 많은 실증 연구는 상황대응리더십이 적용하기 쉬우면서도 과학적인 방법론이라는 결과를 알려준다.    2. 상황대응리더십의 교육 효과  오인경(2006)은 상황대응리더십 교육 전후로 어떤 변화를 경험했는가를 조사하기 위해서 S그룹 계열 S기업에 근무하는 차.부장급 간부 49명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하고 교육 종료 후 과제물을 제출 받았다.. 2024. 4. 24.
유능한 리더의 성과창출 원리2: 성과지향적 업무 수행 방법 1. 개요 성과를 내는 유능한 리더는 결과형 목표를 설정한 후에 과정형 목표를 인과적으로 정렬함으로써 목표의 구조화와 구체화에 집중합니다. 이는 '유능한 리더는 효과성과 효율성 관점에서 성과지향적으로 업무를 수행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아래에서, 목표설정 혹은 성과관리 관점에서 유능한 리더의 성과지향적 업무수행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2. 성과지향적 업무수행 방법론 1) 성과지향적 업무수행이란 성과지향적으로 업무를 수행한다는 것은 팀이 성과를 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팀이 성과를 낸다는 것은 팀의 미션을 효과적 및 효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상위조직의 성과향상에 더 많이 기여하는 것으로 팀의 역할과 책임인 미션의 범위 내에서 핵심업무 활동을 수행하여 최대한의 성과를 창출해 내는 것을 의미합니.. 2023. 10. 10.
유능한 리더의 성과창출 원리 1: 팀 경영자의 역할 인식 1. 개요 성과를 내는 리더는 팀 경영자의 역할 인식에 주목합니다. 피터 드러커는 "팀 경영자의 첫 번째 역할을 상위조직의 성과향상에 기여하는 자율적 목표설정이다."고 하였습니다. 자율적 목표는 목표합의를 통한 목표의 내재화, 자주적 학습 및 책임감 있는 업무수행을 가져오는 내적 동기요인이기 때문입니다. 아래에서, 팀 경영자의 역할에 대해서 상세하게 살펴보겠습니다. 2. 팀 경영자의 역할 "유능한 리더는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스스로 성과를 창출한다." 1) 공동의 목표달성을 위해서 공헌 "팀내 혹은 팀 간 갈등을 줄이고 협력하라." 팀은 조직의 공동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협력하고 상위조직의 성과향상에 직접적으로 공헌해야 합니다. 그런데 팀은 목표를 중점과제로 구체화하여 노력을 집중을 집중함으로써 공동의.. 2023. 9.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