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89 조직변화의 강력한 도구, 가치관 재정비; 가치관 경영 2 1. 서언 많은 기업가가 탁월한 제품과 사업계획을 가지고 기업을 성장시켜 세상 사람들의 행복과 사회에 공헌하는 꿈을 꾼다. 또한, 대부분의 조직은 명문화만 되지 않았을 뿐 나름대로 가치관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구성원들은 꿈을 향해 항해한다. 그런데, 어떤 조직은 거센 파도에 부딪혀도 순항을 하는 반면 어떤 조직은 작은 파도에도 좌초되는가? 아래에서, 강력한 조직변화의 도구로서의 가치관 재정비의 역할에 대해서 상세하게 살펴본다. 2. 가치관 재정비의 역할 1) 조직변화의 강력한 실행 도구 조직은 성장이 멈추거나 조직 분위기가 침체될 경우, 조직구성원들에게 우리가 변해야 하다는 것을 긍정적으로 제시하고 공감대를 형성해야 한다. 조직은 그 방법론을 가치관 재정비에서 찾을 수 있다. 그런데, 가치관은 이미 일.. 2024. 2. 2. 조직과 구성원을 행복하게 하는 방법, 가치관 경영 1 1. 서언 가치관 경영은 CEO와 전 구성원이 업의 본질을 이해하고 꿈꾸는 회사의 모습을 만든 후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 반드시 지켜야 할 우선순위 혹은 원칙을 세우고 그것을 모든 업무수행과 의사결정에 일관되게 적용하는 경영방식이다. 아래에서, 가치관 경영의 중요성을 가치관의 구성요소와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2. 가치관 경영의 이해 1) “많은 중소기업 CEO는 왜 힘들어하는가?” 많은 경영자들은 중소기업을 경영하면서 기업의 생존과 성장을 좌우하는 경영의 본질이 무엇인지 모른 채 혹은 망각한 채 경영을 시작한다. 이런 이유로, 마케팅, 자금 조달, 생산, 연구개발 그리고 인재 확보/육성에 경영의 초점을 둔다. 그런데, 조직구성원의 생각은 서로 다른 가치관의 충돌로 인해 의견차이로 인한 소모적 논쟁으로.. 2024. 1. 24. 조직 임파워먼트 방법론: 핵심가치를 찾고 공유하라! 1. 서언 핵심가치는 조직이 조직 수준에서 구성원들을 임파워먼트 할 수 있는 강력한 수단이 된다. 강력한 수단은 구성원 스스로 일하고 스스로 탁월한 성과를 내게 한다는 의미이다. 아래에서, 조직의 임파워먼트 수단으로서의 핵심가치에 대해서 살펴본다. 2. 핵심가치의 이해 1) 핵심가치의 정의 핵심가치는 "조직의 미션과 비전을 달성하기 위한 과정에서 의사결정 그리고 업무행동 등의 기준으로 구성원 모두가 중요하다고 느끼고 공유하고 있는 신념, 믿음 혹은 원칙을 의미"한다. 2) 핵심가치 체계 조직의 핵심가치 체계는 MVV 모델에 따르면, Mission(미션), Vision(비전), 그리고 Value(핵심가치)로 구성된다. 물론, 짐 콜린스와 제리 포라스는 “성공하는 기업들의 8가지 습관”에서 비전 개념틀을 제.. 2024. 1. 9. 투자유치 성공 전략: VC 보유 펀드의 투자 목적과 사업분야의 FIT 1. 개요 투자유치를 계획하는 스타트업은 “VC보유 펀드의 투자 목적 분야가 자사의 사업분야와 일치하는가?” 즉, 펀드의 규약이 정하는 주목적 투자분야의 정의에 따라 잠재 타켓펀드의 범위를 설정해야 합니다. 스타트업은 성공적인 투자유치를 위해서 모태펀드 출자사업의 주류펀드 분야에 초점을 맞추어야 합니다. 왜냐하면, 주류펀드는 많은 자펀드를 결성하고 펀드규모도 크기 때문입니다. 2. VC보유 펀드의 투자목적분야와 사업분야의 Fit 방법론 1) 1단계: 펀드의 규모 확인 “모태펀드와 자펀드의 규모를 확인하라” 2019년부터 한국벤처투자㈜는 모태펀드 출자사업을 통해서 결성된 자펀드(VC운용)를 통합적으로 조회할 수 있는 “펀드파인더 사이트’를 오픈했습니다. http://fundfinder.k-vic.co.kr.. 2023. 11. 28. 유능한 리더의 성과창출 원리2: 성과지향적 업무 수행 방법 1. 개요 성과를 내는 유능한 리더는 결과형 목표를 설정한 후에 과정형 목표를 인과적으로 정렬함으로써 목표의 구조화와 구체화에 집중합니다. 이는 '유능한 리더는 효과성과 효율성 관점에서 성과지향적으로 업무를 수행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아래에서, 목표설정 혹은 성과관리 관점에서 유능한 리더의 성과지향적 업무수행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2. 성과지향적 업무수행 방법론 1) 성과지향적 업무수행이란 성과지향적으로 업무를 수행한다는 것은 팀이 성과를 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팀이 성과를 낸다는 것은 팀의 미션을 효과적 및 효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상위조직의 성과향상에 더 많이 기여하는 것으로 팀의 역할과 책임인 미션의 범위 내에서 핵심업무 활동을 수행하여 최대한의 성과를 창출해 내는 것을 의미합니.. 2023. 10. 10. 팀 목표설정 시 목표 구조화와 목표 구체화를 위한 핵심 사항 1. 개요 목표를 구성하는 항목 모두를 목표설정서 상에 담는 목표의 구조화와 설정된 목표를 바람직한 목표 설정원칙, QCDQ관점 그리고 중점과제 세분화법을 이용하여 구체화하는 목표의 구체화는 리더의 목표설정 스킬 중에서도 핵심에 해당합니다. 아래에서, 리더의 목표설정 스킬을 향상시켜 주는 목표의 구조화와 구체화를 위한 핵심원리에 대해서 상세하게 살펴보겠습니다. 2. 목표의 구조화와 구체화 1) 목표의 구조화 목표의 구조화란 목표의 구성항목 즉, 결과형 목표, 중점과제로서의 과정형 목표, KPI에 해당하는 핵심성과항목과 목표수준 그리고 우선순위 혹은 중요도를 의미하는 가중치를 빠짐없이 목표설정서 상에 설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목표의 구조화는 상위조직의 목표에 팀의 목표를 정렬시키는 수직적/인과적 .. 2023. 10. 5. 유능한 리더의 성과창출 원리 1: 팀 경영자의 역할 인식 1. 개요 성과를 내는 리더는 팀 경영자의 역할 인식에 주목합니다. 피터 드러커는 "팀 경영자의 첫 번째 역할을 상위조직의 성과향상에 기여하는 자율적 목표설정이다."고 하였습니다. 자율적 목표는 목표합의를 통한 목표의 내재화, 자주적 학습 및 책임감 있는 업무수행을 가져오는 내적 동기요인이기 때문입니다. 아래에서, 팀 경영자의 역할에 대해서 상세하게 살펴보겠습니다. 2. 팀 경영자의 역할 "유능한 리더는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스스로 성과를 창출한다." 1) 공동의 목표달성을 위해서 공헌 "팀내 혹은 팀 간 갈등을 줄이고 협력하라." 팀은 조직의 공동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협력하고 상위조직의 성과향상에 직접적으로 공헌해야 합니다. 그런데 팀은 목표를 중점과제로 구체화하여 노력을 집중을 집중함으로써 공동의.. 2023. 9. 26. 리더의 임파워먼트(empowerment) 발휘 방법 1. 개요 임파워먼트는 업무환경에서 구성원에게 힘을 실어주는 “목표설정, 실행점검과 코칭, 권한위임, 인정(칭찬과 감사표시), 그리고 평가보상” 등의 리더 행동을 의미합니다. 또한, 제대로 된 혹은 목표다운 목표설정 행동은 리더의 다른 임파워먼트 행동 요소를 가능하게 하는 전제조건입니다. 이런 이유로, 아래에서, 성과관리 측면에서의 리더십 임파워먼트 발휘와 그 효과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2. 임파워먼트의 발휘와 효과 1) 임파워먼트 발휘의 핵심요소 "좋은 목표설정과 부하육성으로 구성원을 임파워먼트 하라!" 콩고와 카눈고(J. Conger & R. Kanungo, 1988)는 업무환경에서 구성원의 무력감을 증가시키는 잠재요인을 “비현실적인 목표와 의미 없는 목표 혹은 업무“로 규정하였습니다(출처1). .. 2023. 9. 22. 이전 1 2 3 4 5 6 ··· 1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