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89

리더십 임파워먼트: 임파워먼트의 접근 방식_사회구조적 관점 1. 시작 글 직장(at work)에서의 리더십 임파워먼트에 대한 두 가지 관점은 사회 구조적 관점과 심리적 관점입니다. 이 두 가지 관점은 상호보완적 성격을 갖습니다. 사회구조적 관점은 거시적이고 직장에서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 사회적 구조(또는 상황) 혹은 조건에 초점을 둡니다. 오늘날, 조직은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에서 성공하기 위해서 일선 직원부터 경영진에 이르기까지 모든 구성원의 지식, 아이디어, 열정 에너지, 그리고 창의성을 끌어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 오늘날 70% 이상의 조직이 적어도 노동력의 일부에 대해서 일종의 임파워먼트 계획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최고의 조직은 리더십 임파워먼트를 통해서 직원들이 업무환경에서 주도권을 행사하고, 회사의 공동 목적이나 목표를 위해서 헌신하며, 비스니스의.. 2022. 7. 25.
SMART 목표설정 원칙: 개념과 사례 1. 개요 SMART 원칙은 목표 설정을 더욱 효과적이게 하는 조건들을 의미합니다. 즉, 스마트한 목표는 구체적(Specific)이고, 측정 가능(Measurable)하며, 달성할(Achievable) 수 있고, 현실적(Realistic)이며, 그리고 기한이 정해 있는(Time-bounded) 목표를 의미합니다. 또한, 로크는 목표 설정 이론에서, 도전적이고 구체적인 목표는 구성원의 주의를 목표에 집중시키고, 노력을 스스로 조절하게 하며, 끈기를 증진시키는 내적 동기 요인이라고 하였습니다. 이와 같이, SMART 목표 설정 원칙은 팀 혹은 개인이 목표다운 목표의 설정을 돕는 촉매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성과를 내고자 하는 팀 혹은 개인은 SMART 목표 설정 원칙을 제대로 이해하고, 목표다운 목표를 설.. 2022. 7. 22.
일을 잘 하는 방법: 효과성과 효율성 1. 효과성과 효율성의 의미 성과를 내는 팀 혹은 사람은 효과성과 효율성 관점에서 업무를 수행합니다. 효과성(effectiveness)은 '꼭 해야 할 일 혹은 업무를 해 내는 것(Do the right things)'을 의미하고, 반면에 효율성(efficiency)은 '주어진 일을 적은 자원으로, 신속하게, 그리고 잘 해내는 것(Do things right)'을 의미합니다. 또한, 피터 드러커는 '성과를 내고 일을 잘하는 사람은 꼭 해야 할 일을 찾는데 집중한다'라고 하였습니다. 이런 측면에서, 효과성은 효율성보다 중요합니다. 효과성이 부족할 경우 이를 달성 가능하게 해 주는 효율성 역시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즉, 팀 혹은 개인이 성과향상을 위해서 꼭 해야 할 일인 과제형 목표로서의 중점과제를 잘못 설.. 2022. 7. 21.
목표다운 목표가 갖추어야 할 핵심 3요소 1. 개요 목표는 전사 차원에서 할당되는 지표형 목표, 이를 달성 가능하게 하는 과제형 목표, 핵심 성과항목, 목표 수준, 그리고 가중치 등으로 구조화되는 통합적 개념입니다. 결과 중심으로 성과를 관리하는 기업은 지표형 목표를 중심으로 목표가 설정되고 관리되는 반면에, 과정 중심으로 성과를 관리하는 기업은 과제형 목표를 중심으로 목표가 설정되고 관리됩니다. 물론, 결과와 과정을 모두 관리하는 기업은 지표형 목표와 과제형 목표 모두를 목표로 설정하고 관리합니다. 목표의 핵심 3요소는 목표가 목표답기 위해 갖추어야 할 요건을 의미합니다. 목표가 목표 답다는 것은 목표의 내재화를 통해서 구성원의 실행의지를 불러일으킨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목표가 목표답게 설정되었다는 것은 지표형 목표와 과제형 목표가 인.. 2022. 7.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