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89

최종 평가전 평가 면담 실시 방법론: 3단계 6가지 질문 1. 목적 최종 평가전 평가 면담은 최종 평가 면담 전에 실시하는 면담으로서, 피평가자가 한 해 동안 자신의 성과 혹은 업적에 대해서 스스로 발언하고 성찰할 시간을 부여하며, 자신의 평가등급을 미리 예상하고 최종 평가 결과를 수용할 마음의 준비를 하도록 하는데 목적을 둡니다. 최종 평가전 평가 면담은 면담을 실시하는 1단계, 평과 결과에 동의하고 수용하는 2단계, 그리고 면담을 사후 관리하는 3단계로 구성됩니다. 다시, 1단계는 성과 수준의 점검, 수행 과정의 잘한 점, 그리고 수행과정의 아쉬운 점 등을 파악하는 3단계로 세분화됩니다. 최종 평가전 평가 면담의 3단계 중 가장 중요한 단계는 1단계입니다. 그 이유는 1단계의 결과가 좋을 경우 피평가자는 평가결과를 수용하기 때문입니다. 2. 최종 평가전 평.. 2022. 7. 16.
공정한 성과평가 방법론: 7가지 평가 오류와 해결책 1. 공정한 평가 가능한가? 평가는 보상을 위해서 목표 대비 성과 혹은 업적을 평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런 맥락에서, 목표를 설정하였다는 것은 평가를 전제하는 것이며, 목표는 평가와 보상을 위한 메시지가 되는 것입니다. 사람들은 모두 자신이 완벽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이유로, 평가자는 피평가자에 대한 평가에 있어 어떠한 오류 혹은 편견의 영향을 받지 않고 완벽하게 평가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과연 그런가요? 사람은 시간, 정보 부족, 인지능력의 한계로 만족할 만한 결정을 하는 불합리한 존재입니다. 이와 같이, 사람들은 제한된 합리성으로 인해서 많은 편견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불완전한 존재이기 때문에 사람들이 완벽하게 평가를 한다는 것은 애초에 불가능한 일입니다. 그렇다면, 완벽한 평가는 불가능.. 2022. 7. 15.
중점과제의 정의, 중요성, 그리고 도출 방법론 1. 중점과제의 정의와 역할 중점과제는 팀이 상위 조직에서 할당되는 지표형 목표의 달성을 통해서 상위 조직의 성과향상에 기여하기 위해서 혹은(그리고) 팀의 핵심 성과목표의 달성에 직접적 또는 효과적으로 기여하기 위해서 특별하게 추진해야 하는 업무 혹은 활동을 의미합니다. 이는 상위 조직에서 할당되는 결과 중심의 지표형 목표의 달성을 위해서 팀이 과정 중심의 과제형 목표를 설정하고 추진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이런 맥락에서, 팀이 설정하는 중점과제는 팀 목표의 구조 내에서 과제형 목표로 구조화되며, 상위 조직에서 할당된 지표형 목표 혹은(그리고) 팀의 핵심 성과목표의 달성을 위한 핵심 성공요인(CSF: Critical Success Factor)이 됩니다. 팀이 상위 조직에서 할당된 지표형 목표와 중.. 2022. 7. 14.
GROW 코칭 대화법: 목표 실행점검 면담 방법론 1. GROW 코칭 팀이 노력하여 연초에 설정한 목표는 경영환경의 초경쟁성과 이에 따른 애자일 방식의 목표 설정으로 인해서 실행 과정에서 많은 문제에 직면하게 됩니다. 이런 업무 상황에서 조직은 팀장 혹은 리더로 하여금 정기적인 중간점검 혹은 중간평가 면담을 통해서 팀의 목표 실행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는 많은 문제를 해결하고 성과를 향상하도록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런 맥락에서 팀장은 목표 실행 과정에서 발행하는 많은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론을 찾게 되는데, GROW코칭 대화법은 팀장의 문제 해결을 돕는 하나의 방법론입니다. 팀장은 코칭을 이용하여 중간점검 면담을 진행할 때, 지시나 강요가 아닌 팀원의 반성을 이끌어 내고 팀원 스스로 문제 해결 방법을 찾아낼 수 있도록 코칭 스킬을 발휘함으.. 2022. 7.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