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89 업무리더십: 목표설정과 KPI의 이해 1. 시작 글 팀 혹은 개인은 선정된 과제형 혹은 과정형 목표로서의 중점과제를 제대로 수행하였는가를 무엇으로 측정할 수 있을까요? 네, 팀 혹은 개인은 KPI(핵심 성과지표: Key Performance Indicator) 즉, 핵심 성과항목(혹은 지표명)과 목표 수준(Target level)을 통해서 중점과제의 수행 결과를 객관적인 수치로 측정합니다. 2. 목표설정과 KPI의 이해 1) 정의 과제형 목표인 중점과제 관련 핵심 성과항목은 수많은 정의에도 불구하고, "과제형 혹은 과정형 목표로서의 중점과제의 수행 결과(성과)를 무엇으로 측정할 것인가?" 혹은 "중점과제를 수행하는 근본적인 목적은 무엇인가?" 혹은 "중점과제의 성공적인 수행에 필요한 핵심 성과항목 혹은 성과 행동은 무엇인가?" 등의 질문에 .. 2022. 12. 13. 사회.구조적 임파워먼트와 심리적 임파워먼트 간의 관계와 시사점 1. 시작 글 사회. 구조적 관점은 거시적이고 직장 혹은 업무환경에서 팀 혹은 구성원에게 힘을 실어줄 수 있는 구조, 관행, 혹은 관행에 초점을 두는 접근법입니다. 반면에, 심리적 관점은 조금 더 미시적이고 업무환경에서 개인이 임파워먼트를 느끼는 심리적 경험에 초점을 두는 접근법입니다. 아래에서, 사회. 구조적 및 심리적 리더십 임파워먼트 간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필드 연구 결과물 살펴본 후에 맺음말로 마무리합니다. 2. 사회. 구조적 임파워먼트와 심리적 임파워먼트 간의 실증 연구 결과물 1) 개인 수준 사회. 구조적 임파워먼트의 구성요소들은 구성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경험과 어떤 관련성이 있을까요? 이런 질문에 대해서 심리적 임파워먼트 분야의 대가인 스프레이처(1996)는 칸터의 사회.구조적 임파워먼.. 2022. 12. 9. 조직과 구성원을 이롭게 하는 심리적 리더십 임파워먼트의 혜택 1. 시작 글 업무 환경에서 임직원들을 심리적으로 동기 부여시키는 요인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네, 이전 글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황적 요인, 리더십 행동, 그리고 직무특성 등은 업무에서 임직원들에게 힘을 실어주는(=심리적 임파워먼트) 결정요인입니다. 그렇다면,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조직에 어떤 혜택을 가져올까요? 아래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개인 혹은 조직에 주는 혜택과 실무적 시사점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2.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혜택 (성과 혹은 효과) 연구 결과,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조직구성원이 일과 조직에 대해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게 할 뿐만 아니라 긍정적인 업무 성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1) 일과 조직에 대한 긍정적 태도 형성 (1)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주는 혜택 광범위한 .. 2022. 11. 29. 심리적 관점의 리더십 임파워먼트에 대한 연구 결과와 시사점 1 1. 시작 글 임파워먼트는 "팀 구성원이 직접 대면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업무를 하는 가상적 비대면 업무 수행 환경"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개인이 자신의 일(업무 혹은 작업)과 관련하여 통제감을 느끼기 위해서 필요한 일련의 심리적 상태를 의미합니다. 심리적 임파워먼트 관점은 모든 계층의 직원들과 권력(Power)을 공유하는 경영 관행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직원들이 자신의 업무에서 실제로 임파워먼트를 경험하느냐"에 초점을 맞춥니다. 아래에서는 심리적(동기부여적)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결정) 요인에 대한 필드 연구결과를 살펴보고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합니다. 2.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대한 주요 연구 결과 1) 누가 더욱 강하게 임파워먼트 되는가? 연구결과, 특정 유형의 사람.. 2022. 11. 13.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2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