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89 팀장 업무리더십: KPI 목표 설정 2_성과항목 도출 방법론 1. 시작 글 팀 혹은 개인이 KPI를 설정한다고 하는 것은 중점과제의 달성을 위해서 노력을 집중해야 하는 성과항목을 핵심 성과항목으로 선정한 후에 열심히 하겠다는 의지 즉, 노력의 수준을 보여주기 위하여 목표 수준을 도전적으로 설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런데, 열심해 일을 했는데도 성과가 부진하다면, 이는 팀 혹은 개인이 행동지침인 핵심 성과항목을 잘못 설정하여 엉뚱한 곳에 노력을 집중하였기 때문입니다. 이런 이유로, 팀 혹은 개인은 목표로서의 KPI를 제대로 설정하는 것에 집중해야 합니다. 2. 성과항목 도출 방법론 1) KPI 설정 프로세스 KPI는 노력의 집중 혹은 행동지침인 핵심 성과항목과 노력의 수준 혹은 공헌도를 의미하는 목표수준(보통 당해 연도 목표치)으로 구성됩니다. 팀 혹은 개인은 중.. 2023. 1. 3. 팀장 업무리더십: KPI 목표 설정 1_개론 1. 시작 글 KPI는 핵심성공요인 혹은 중점과제라고 불리는 핵심 성과항목과 목표 수준(혹은 목표치)으로 구성되는 목표의 구성요소입니다. 구체적으로, KPI는 "과정형 업무 목표로서의 중점과제를 수행하는 근본적인 목적은 무엇인가?" 그리고 "핵심 성과항목의 실행에 얼마만큼의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가?"등의 질문에 대한 답을 나타내는 "핵심 성과항목과 목표 수준"을 포함합니다. 아래에서, KPI 설정의 중요성 그리고 프로세스 및 방법에 대해서 개괄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2. KPI 설정의 중요성과 방법 1) KPI 설정의 중요성 혹시, 일은 열심히 했는데 성과는 부진했던 경험이 없으셨나요? 왜 이런 현상이 발생할까요? 이런 현상은 팀 혹은 개인이 성과항목에 대한 평가를 잘못하여 핵심 성과항목을 잘못 선정하고.. 2022. 12. 30. 업무리더십: KPI의 요건 2_노력의 집중과 조직성과 향상에의 공헌 1. 시작 글 바람직한 KPI는 팀 혹은 개인이 업무목표인 중점과제를 수행하는 목적을 가장 잘 설명해 줄 수 있어야 하며, 구성원들의 노력을 한곳에 집중시킬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구성원들은 노력의 집중을 통해서 조직의 성과향상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렇다면, 구성원들은 조직의 성과향상에 공헌하기 위하여 도전적인 수준에서 목표 수준을 설정하여 핵심 성과항목의 실행에 노력을 쏟아부어야 합니다. 2. 노력의 집중과 조직성과 향상에 공헌 1) 핵심성과항목과 노력의 집중 조직 내에서 자신의 부서 일은 회사와 외부고객, 상위조직, 그리고 다른 부서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조직의 모든 업무는 상호의존적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팀 혹은 개인은 과정형 목표로서의 중점과제의 선정과 추진을 .. 2022. 12. 21. 업무리더십: KPI의 요건_정량화(정량지표&측정수단) 지향 1. 시작 글 KPI는 팀 혹은 개인이 평가기간 동안 성과를 얼마나 많이 냈는지, 중점과제 달성을 위한 성과 행동 혹은 핵심 성과항목에 노력을 집중했는지, 그리고 성과 행동을 위한 직무역량은 어느 정도를 보유했는지를 객관적 수치로 나타냅니다. 이런 이유로, 목표로서의 중점과제의 수행 결과 혹은 성과에 대한 사후적 측정은 동기부여 즉, 평가를 통한 업무수행 결과에 대한 피드백, 연봉, 승진 및 인센티브 등의 보상, 그리고 코칭 및 교육훈련 실시를 위한 수단이 됩니다. 2. 정량화의 의미와 방법 1) 의미 KPI의 정량화는 "정량지표의 개발 그리고 측정의 정확도 혹은 측정가능성의 수준을 높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정량화된 KPI는 수행 결과에 대한 리더의 피드백을 통해서 부하에게 잘못된 부분을 개선할 수 있.. 2022. 12. 14.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2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