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성과관리리더십70

유능한 리더의 성과창출 원리 1: 팀 경영자의 역할 인식 1. 개요 성과를 내는 리더는 팀 경영자의 역할 인식에 주목합니다. 피터 드러커는 "팀 경영자의 첫 번째 역할을 상위조직의 성과향상에 기여하는 자율적 목표설정이다."고 하였습니다. 자율적 목표는 목표합의를 통한 목표의 내재화, 자주적 학습 및 책임감 있는 업무수행을 가져오는 내적 동기요인이기 때문입니다. 아래에서, 팀 경영자의 역할에 대해서 상세하게 살펴보겠습니다. 2. 팀 경영자의 역할 "유능한 리더는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스스로 성과를 창출한다." 1) 공동의 목표달성을 위해서 공헌 "팀내 혹은 팀 간 갈등을 줄이고 협력하라." 팀은 조직의 공동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협력하고 상위조직의 성과향상에 직접적으로 공헌해야 합니다. 그런데 팀은 목표를 중점과제로 구체화하여 노력을 집중을 집중함으로써 공동의.. 2023. 9. 26.
리더의 임파워먼트(empowerment) 발휘 방법 1. 개요 임파워먼트는 업무환경에서 구성원에게 힘을 실어주는 “목표설정, 실행점검과 코칭, 권한위임, 인정(칭찬과 감사표시), 그리고 평가보상” 등의 리더 행동을 의미합니다. 또한, 제대로 된 혹은 목표다운 목표설정 행동은 리더의 다른 임파워먼트 행동 요소를 가능하게 하는 전제조건입니다. 이런 이유로, 아래에서, 성과관리 측면에서의 리더십 임파워먼트 발휘와 그 효과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2. 임파워먼트의 발휘와 효과 1) 임파워먼트 발휘의 핵심요소 "좋은 목표설정과 부하육성으로 구성원을 임파워먼트 하라!" 콩고와 카눈고(J. Conger & R. Kanungo, 1988)는 업무환경에서 구성원의 무력감을 증가시키는 잠재요인을 “비현실적인 목표와 의미 없는 목표 혹은 업무“로 규정하였습니다(출처1). .. 2023. 9. 22.
팀장 리더십: 과제 발굴과 목표 구체화의 도구, QCDQ관점 1. 개요 QCDQ관점은 바람직한 목표설정의 원칙(보통 SMART 목표설정 원칙)과 함께 설정된 목표를 구체화하는 데 사용되는 매우 유용한 도구입니다. 물론, QCDQ 관점은 목표(중점과제 혹은 과정형 목표)로서의 과제를 발굴하는데 사용되는 미시적 목표설정 방법론입니다. 따라서, 팀 혹은 팀장은 목표구체화의 도구로서 QCDQ관점을 사용합니다. 2. 과제발굴과 목표구체화의 도구, QCDQ 관점 팀은 MBO식 통합형 목표설정 방식에서 결과형 목표와 과정형 목표를 인과관계로 구조화 즉, 정렬함으로써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수행하는 업무에서 과제를 손쉽게 발굴하고 설정된 목표를 구체화하는 방법론은 없을까요? 이런 경우, 팀은 QCDQ 관점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즉, QCDQ관점은 수행중인 핵.. 2023. 9. 2.
팀장 업무리더십: 팀 목표 설정 관련 공통 핵심 이슈 1. 개요 성과를 내고자 하는 리더는 “일상적 업무를 과정형 목표(중점과제)로 설정하였는가?. 결과형 목표설정에 집중하고 있지는 않는가?, 실행계획을 중점과제로 설정하지는 않았는가?, 상호보완적 결과형 목표는 설정했는가?, 핵심성과항목은 적절한가?, 과정형 목표인 중점과제는 중복되어 설정하지는 않았는가? 그리고 미션과 업무분장의 범위내에서 목표를 설정했는가?”에 대해서 질문을 던지고 스스로 답할 수 있어야 합니다.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2. 팀 목표설정 공통 핵심이슈 1) 일상적 업무를 과정형 목표로 설정 모든 팀은 “일상적인 업무는 업무목표가 아니다.”라는 사실에 주목해야 합니다. 가령, 발전소에 제어시스템을 판매하는 영업팀이 매출목표 달성률 및 목표치 100억원을 결과형 목표로 설정한.. 2023. 9.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