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성과관리리더십70

팀 미션의 설정 방법_업무목표 설정의 원천 1. 시작 글 팀의 목표는 팀의 고유업무 내에서 팀이 통제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정되어야 하기 때문에 팀의 미션과 업무분장은 명료화되어야 합니다. 팀의 미션은 팀의 고객, 팀이 제공하는 가치, 그리고 기여점으로 구성되며, 제공 가치는 팀의 역할을 그리고 기여점은 팀이 책임을 의미합니다. 다시, 팀의 역할은 고유업무의 수행을, 그리고 책임은 핵심 성과목표를 의미합니다. 이런 맥락에서, 팀의 미션은 업무분장을 위한 기준점이 됩니다. 또한 업무영역은 지표(결과) 형 목표와 과제(정) 형 목표를 설정하는 기준이 됩니다. 이와 같이, 팀의 미션은 업무분장과 목표 설정의 근간이 됩니다. 그렇다면, 팀의 미션은 세부적으로 설정해야 할까요? 아니면 포괄적으로 설정해야 할까요? 네, 포괄적, 즉 넓은 의미를 가지는 미션.. 2022. 8. 3.
팀 목표설정시 목표조정 및 합의를 위한 5가지 원칙 1. 시작 글 목표의 조정 및 합의는 '상사 혹은 팀장이 팀장 혹은 팀원이 설정하여 제출한 목표가 목표 설정 적절성 확인을 위한 주요 점검사항에 부합하는가를 검토한 후에 수 차례의 면담 과정을 통해서 조정하고 합의를 이끌어 내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목표의 조정 및 합의는 목표 설정 6단계 프로세스 중에서 마지막 단계입니다. 또한, 목표 조정 및 합의는 목표 설정 프로세스 중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입니다. 그 이유는 합의된 목표는 내적 동기부여 요인으로서 부하를 업무환경에서 사전적이면서 직접적으로 동기부여 함으로써 목표 몰입과 열정 에너지를 촉진하는 결정요인이기 때문입니다. 이런 이유로, 상사 혹은 팀장은 수 차례의 목표 조정 과정을 반복하면서 부하 스스로가 목표에 대해서 동의하게 함으로써 합의를 이끌어 .. 2022. 8. 2.
팀 목표설정을 위한 6단계 방법론 1. 시작 글 팀 목표 설정에 있어서 핵심은 목표 설정 6단계를 통해서 목표를 구체화하는 것입니다. 목표를 구체화한다는 것은 지표(결과) 형 목표의 달성을 위해서 과제(정) 형 목표로서의 중점과제를 구체화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구체적으로, 목표의 구체화는 성과향상 혹은 업무상의 문제를 개선 혹은 해결하기 위해서 발굴된 과제를 바람직한 목표의 요건에 맞추어 점검하고 다듬어서 목표다운 목표로 가시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피터 드러커는 "목표는 바람직한 희망이 아니라 구체적인 업무로 제시되어야 한다"라고 하면서 과제의 발굴과 구체화를 강조하였습니다. 구체화된 목표는 팀 혹은 개인에게 노력의 방향을 구체화시켜 주기 때문에 목표 설정에 있어서 핵심 성과항목 혹은 핵심 성과지표와 함께 가장 중요한 목표의 구성요소.. 2022. 8. 1.
발생형,탐색형,설정형 문제의 의미, 사례, 해결방법 1. 시작 글 많은 직장인들은 업무에서 다양한 문제를 수시로 마주하게 됩니다. 그 이유는 세상은 복잡계이고 업무를 추진하다가 보면 생각하지 못했던 장애물들이 등장하기 때문입니다. 직장인들이 업무에서 직면하게 되는 문제는 발생형, 탐색형, 그리고 설정형 문제로 구분됩니다. 또한, 각각의 문제는 개선 혹은 해결을 위해서 서로 다른 형태의 특별한 활동 혹은 과제의 설정과 실행을 요구합니다. 이런 맥락에서, 문제는 곧 해결해야 할 과제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이와 같이, 직장인들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과제를 설정하고 실행합니다. 본 주제는 발생형, 탐색형, 그리고 설정형 문제에 대한 각각의 의미와 사례를 먼저 소개한 후, 해결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마무리됩니다. 2. 문제의 유형별 의미와 사례 1) 발생형 문제 .. 2022. 7.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