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성과관리리더십/조직 동기부여11

리더십 임파워먼트: 명료한 경영과 소통 위한 경영진(TMT) 신뢰 구축 방법론 1. 서언  조직은 일탈된 즉, 고성과(높은 사기, 높은 생산성, 낮은 이직율)를 창출하려면 ‘원팀.원스피릿’이 되어야 한다. 원팀.원스피릿이 되려면 똑똑함과 건강함의 균형을 갖추어야 한다. 똑똑함은 필요(최소)조건으로서 전략, 마케팅, 재무, 기술 등을, 건강함은 충분조건으로서 미션, 핵심가치 등 조직문화를 의미한다. 건강한 문화는 똑똑한 조직을 만들고 조직의 역량을 향상시킨다. 아래에서, 건강한 조직 구축을 위한 4원칙 중 최고경영팀(TMT 혹은 리더십팀) 신뢰 구축에 대해 살펴본다.   2. 최고경영팀(TMT) 신뢰 구축 방법 그렇다면, 조직이 건강해지려면 무엇을 해야 할까? 바로, 네 가지 원칙을 실행하면 된다.  1) 최고경영팀 구성  최고경영팀(TMT: Top Management Team, 혹.. 2024. 6. 3.
[리더십 임파워먼트] 경영자(CEO)의 핵심가치 실천 사례_사우스웨스트 1. 핵심가치의 정의 핵심가치는 조직의 밑바탕에 깔려 있는 가장 중요한 3개 내외의 행동 특성을 말한다. 핵심가치는 조직 정체성의 근간을 이루며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반드시 지켜내야만 하는 신념, 경영원칙, 일하는 방식, 혹은 조직운영 원칙을 의미한다. 아래에서, 사우스웨스트 항공사 경영자의 핵심가치 실천 사례를 살펴본다.  2. 사우스웨스트 항공 사례 미국 저가 항공의 대표주자 사우스웨스트의 핵심가치는 “유머”이다. 이 항공사의 단골 고객 한 명이 승무원이 비행 전 안전 점검을 할 때 농담을 했다는 이유로 CEO에게 항의 서한을 보냈다. 심각하고 중요한 안전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농담을 건넨 점에 불만을 표한 것이었다. 대개의 경우, 경영자(CEO)는 고객이 자신의 항공사를 .. 2024. 5. 23.
HR 초점의 이동: 어떻게 사람 가동률을 높일 것인가? 1. 서언 산업사회에서의 HR은 공장가동률과 같은 생산성 향상에 초점을 두었다. 이런 관점의 HR은 사람은 단지 생산성 향상을 위한 수단 혹은 도구에 지나지 않으며 지시와 통제의 대상이 되었다. 그런데, 지식정보사회에서의 HR은 생산성이 아닌 “사람 가동률”에 초점을 두면서 사람을 인적자원이 아닌 인적자본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왜냐하면, 똑같은 프로세스라도 해도 운용하는 사람들의 마음가짐에 따라 생산성에 있어 큰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많은 조직은 여전히 “사람 가동률”이 아닌 “공장 가동률”에 초점을 두는가? 2. 왜 사람 가동률인가? 구성원들의 시간 활용을 연구한 맥킨지 조사 결과는 구성원들이 1) 흡연, 잡담, 사적 통화, 웹 서핑 등과 같은 일에 시간의 20%를, 2) 불필요한 보고.. 2024. 4. 8.
구성원 존중 실천과 가치관 경영의 실천 1. 서언 존중은 사전적 의미로 “높이고 중하게 여긴다”는 뜻으로 “높여서 귀하게 대한다”는 의미이다. 사람은 존중받는다고 느낄 때 자긍심, 열정 그리고 신뢰를 느끼면서 자기 주도적 사고와 행동을 하게 된다. 이런 의미에서, 리더는 리더십의 발휘를 위해서 존중의 중요성과 실천방법론을 학습하여 실천해야만 한다. 2. 존중의 중요성과 실천방법 1) 존중의 중요성 “미션, 비전, 핵심가치 등 가치관 공유로 소통과 구성원 존중을 실천” 존중 받는 조직 구성원은 조직 혹은 리더의 존중을 자신에게 주는 신뢰의 신호로 받아들이고 자기계발,책임감 있는 업무수행과 성과창출을 통해 보답하게 된다. 조직은 조직 구성원들 스스로가 선택한 ‘공동운명체’이다. 공동운명체는 공동으로 운명을 함께 하는 조직을 말한다. 그런데, 공동.. 2024. 4.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