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과관리리더십/목표설정

업무리더십: KPI의 요건 2_노력의 집중과 조직성과 향상에의 공헌

by 우성민박사 2022. 12. 21.
반응형

1. 시작 글

 

 바람직한 KPI는 팀 혹은 개인이 업무목표인 중점과제를 수행하는 목적을 가장 잘 설명해 줄 수 있어야 하며, 구성원들의 노력을 한곳에 집중시킬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구성원들은 노력의 집중을 통해서 조직의 성과향상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렇다면, 구성원들은 조직의 성과향상에 공헌하기 위하여 도전적인 수준에서 목표 수준을 설정하여 핵심 성과항목의 실행에 노력을 쏟아부어야 합니다.

 

2. 노력의 집중과 조직성과 향상에 공헌

1) 핵심성과항목과 노력의 집중

 

 조직 내에서 자신의 부서 일은 회사와 외부고객, 상위조직, 그리고 다른 부서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조직의 모든 업무는 상호의존적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팀 혹은 개인은 과정형 목표로서의 중점과제의 선정과 추진을 통해서 상호의존적 관계의 성과향상에 기여합니다. 그렇다면, 팀 혹은 개인은 중점과제의 실행을 통한 성과향상에 기여하기 위해서 어디에 노력을 집중해야 합니까? 팀 혹은 개인은 "우리 팀 혹은 내가 중점과제를 수행하는 근본적인 목적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을 던짐으로써 중점과제의 세부업무 중에서 중점과제를 수행하는 근본적인 목적을 가장 잘 설명하는 구체적 업무 혹은 프로세스에 노력을 집중해야 합니다.

 

 가령, 조리팀에서 고객만족도 향상이라는 지표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조리사의 복장청결을 중점과제로 선정하고 복장점검 횟수를 핵심 성과항목으로 설정했다면, 조리팀은 중점과제의 실해을 위한 핵심성과항목을 제대로 설정했다고 할 수 있을까요? 만일 그렇지 않다면 그 이뉴는 무엇입니까? 조리팀은 중점과제에 대한 핵심 성과항목을 바람직하게 설정하지 않았습니다. 조리팀이 조리사의 복장 청결에 신경을 쓰는 이유는 조리사에 대한 복장 점검을 자주 하려는 것이 아니라 이용객인 고객의 청결감을 향상하는 데에 있기 때문입니다.

 

 이와 같이, 핵심성과항목은 "중점과제를 수행하는 근본적인 목적"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팀 혹은 개인은 설정된 핵심 성과항목이 적절하가를 판단하기 위해서 "이 지표명은 중점과제를 수행하는 근본적인 목적을 가장 잘 설명하고 있는가? 혹은  중점과제의 수행결과를 가장 잘 측정할 수 있는 항목은 무엇인가?" 등에 대해서 질문해 보십시오.

 

2) 목표수준과 조직성과 향상에의 공헌

 

 KPI는 핵심성과항목과 목표 수준을 포함하는 목표의 구성요소입니다. 팀 혹은 개인은 중점과제를 수행하는 근본 목적인 핵심 성과항목에 노력을 집중함으로써 조직의 성과향상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팀 혹은 개인이 목표 수준을 도전적으로 설정하지 않았다면 아무리 핵심 성과항목에 노력을 집중해도 조직의 성과향상에 대한 기여도는 저조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런 이유로, KPI의 구성요소로서의 목표 수준(Target level: 당해 연도 업무목표치)은 "조직의 성과향상에 대한 팀 혹은 개인의 공헌 수준 혹은 도전성 혹은 노력의 정도"를 의미합니다. 또한, 목표 수준은 바람직한 목표설정의 원칙에 입각해서 볼 때 '도전성과 현실성'을 고려하여 설정되어야 합니다. 왜냐하면, 목표설정하는 바와 같이 어렵고, 도전적이며, 그리고 현실적 수준의 목표는 동기요인으로 작용하여 구성원으로 하여금 과정형 목표로서의 중점과제의 실행에 노력을 쏟아붓게 하기 때문입니다.

 

 이와 같이,  목표의 구성요소로서의 목표 수준은 '현실성과 도전성'을 고려하여 설정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팀 혹은 개인은 목표 수준을 도전적으로 설정함으로써 조직의 성과향상에 기여해야 합니다.

 

3. 맺음 글

 

 이전 글에 이어서 바람직한 KPI가 갖추어야 할 요건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정리해 보면, 바람직한 KPI는  측정의 객관성 확보 측면에서 정량화되고, 중점과제의 수행 목적을 가장 잘 설명할 수 있어야 하며 그리고 도전적 및 현실적인 목표 수준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합니다. 왜냐하면, 조직에서 팀 혹은 개인이 목표를 설정하는 이유는 조직의 성과향상에 기여하고 순수한 자신의 노력에 의한 성과를 보상받기 위함입니다. 그런데, 목표의 수준이 도전적이지 못하다면 목표를 설정하는 이유 자체가 없어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구체적이며, 측정가능하며, 그리고 도전적. 현실적인 목표로서의 KPI는 구성원들에게 어디에 노력을 집중해야 하는 가를 알려 줌과 동시에 동기요인으로 작용하여 구성원들로 하여금 핵심 성과항목에 열정과 노력을 쏟아붓게 하기 때문입니다.    끝.

 

함께 보면 좋은 글: 업무리더십: KPI의 요건_정량화(정량지표&측정수단) 지향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