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과관리리더십/목표설정

업무리더십: KPI의 요건_정량화(정량지표&측정수단) 지향

by 우성민박사 2022. 12. 14.
반응형

1. 시작 글

  

  KPI는 팀 혹은 개인이 평가기간 동안 성과를 얼마나 많이 냈는지, 중점과제 달성을 위한 성과 행동 혹은 핵심 성과항목에 노력을 집중했는지, 그리고 성과 행동을 위한 직무역량은 어느 정도를 보유했는지를 객관적 수치로 나타냅니다. 이런 이유로, 목표로서의 중점과제의 수행 결과 혹은 성과에 대한 사후적 측정은 동기부여 즉, 평가를 통한 업무수행 결과에 대한 피드백, 연봉, 승진 및 인센티브 등의 보상, 그리고 코칭 및 교육훈련 실시를 위한 수단이 됩니다.

 

2. 정량화의 의미와 방법

1) 의미

 

 KPI의 정량화는 "정량지표의 개발 그리고 측정의 정확도 혹은 측정가능성의 수준을 높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정량화된 KPI는 수행 결과에 대한 리더의 피드백을 통해서 부하에게 잘못된 부분을 개선할 수 있는 기회를, 평가. 보상을 통해서 내년도에 열정을 바쳐서 일할 수 있는 동기를, 그리고 역량평가를 통해서 부족한 업무역량에 대한 코칭과 교육기회를 제공합니다. 참고로 부하의 중점과제의 수행 결과가 미흡하다는 점은 업무역량이 부족하여 교육과 코칭이 필요하다는 부하의 메시지입니다. 이런 맥락에서, 팀 혹은 개인은 측정의 정확도 혹은 객관성 확보를 위해서 KPI의 정량화를 지향해야 합니다.

 

2) 정량화 방법

 

 정량화의 다양한 혜택에도 불구하고  성과관리제도를 도입한 초기 단계의 조직이 정량화에 지나치게 초점을 두는 것은 무리한 시도일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조직은 정량적 지표 및 측정 수단의 개발 비용, 그리고 임직원의 목표설정 능력 등을 현실적으로 고려하여 정성적 측정 지표를 일부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조직은 임직원의 목표 설정 능력 혹은 스킬이 단기간에 향상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하고 장기적 관점에서 성과관리 제도를 도입하고 조직문화로 정착시켜 나가야 합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아무리 정량화가 바람직하다고 할지라도, 기업마다 처한 상황이 다르고 정교한 정량적 측정 지표 및 측정 수단의 개발에 많은 시간과 노력, 그리고 비용이 투입되기 때문에 조직 혹은 팀은 비용과 편익(Cost & Benefit)관점에서 만족할만한 수준에서 정량화의 수준을 결정해야 합니다. 구체적으로, 정교한 정량적 측정 지표의 개발은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전산시스템의 구축 비용을 수반합니다. 가령, 구매팀이 핵심 성과지표를 정량지표인 "원재료 납기 준수율"으로 설정했지만 전산시스템이 구축되지 않은 상황에서 수많은 부품이 수립, 수백 회에 걸쳐서 구매팀은 납기 준수 여부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구매팀은 전산시스템의 구축을 통해서 적기 공급 여부를 측정해야 합니다. 그런데, 개발된 정량적 지표의 측정을 위한 전산시스템의 구축은 많은 시간과 노력, 그리고 비용을 수반합니다. 그렇다면, 조직은 성과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 어느 정도의 수준에서 비용을 투입해야 할까요? 조직 혹은 팀은 비용 투자 대비 효익을 고려하여 중점과제의 실행과 관리를 원하는 수준만큼 측정비용을 투입하면 됩니다. 이런 측면에서, 조직이 정량화를 위해서 투입하는 측정비용의 수준은 곧 조직의 성과관리의 수준이 됩니다.

 

3. 맺음 글

 

 조직 혹은 팀은 KPI를 설정함에 있어서 정량화를 지향하되 성과측정의 한계는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조직 혹은 팀은 과제형 목표로서의 중점과제(핵심 성공요인: CSF)의 실행 혹은 관리를 원하는 수준(효익)만큼 측정(지표 개발과 측정수단 개발) 비용을 투입해야 합니다. 다만, 조직은 "측정비용의 수준은 곧 성과관리의 수준"이라는 말에 주목해야 합니다.    끝.

 

함께 보면 좋은 글:

1. SMART 목표설정 원칙: 개념과 사례

2. 업무리더십: 목표설정과 KPI의 이해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