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성과관리리더십70

GROW 코칭 대화법: 목표 실행점검 면담 방법론 1. GROW 코칭 팀이 노력하여 연초에 설정한 목표는 경영환경의 초경쟁성과 이에 따른 애자일 방식의 목표 설정으로 인해서 실행 과정에서 많은 문제에 직면하게 됩니다. 이런 업무 상황에서 조직은 팀장 혹은 리더로 하여금 정기적인 중간점검 혹은 중간평가 면담을 통해서 팀의 목표 실행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는 많은 문제를 해결하고 성과를 향상하도록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런 맥락에서 팀장은 목표 실행 과정에서 발행하는 많은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론을 찾게 되는데, GROW코칭 대화법은 팀장의 문제 해결을 돕는 하나의 방법론입니다. 팀장은 코칭을 이용하여 중간점검 면담을 진행할 때, 지시나 강요가 아닌 팀원의 반성을 이끌어 내고 팀원 스스로 문제 해결 방법을 찾아낼 수 있도록 코칭 스킬을 발휘함으.. 2022. 7. 13.
목표 실행점검 면담의 종류와 시기 및 절차와 방법 이전 글에서 설정된 목표의 실행 후 중간점검의 정의와 중요성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애자일 방식으로 수립된 중점과제의 실행계획은 추진 단계에서 많은 문제에 직면하기 때문에 리더의 중간점검은 리더가 필연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핵심 업무활동 중의 하나입니다. 그렇다면 리더는 목표 실행에 따른 중간점검을 왜 해야하는 것일까요? 리더는 실행 점검 면담 과정을 통해서 연초에 설정된 목표의 실행사항에 대한 진척상황, 즉 계획 대비 실행 수준의 파악, 면담 과정에서 담당자의 중점과제의 실행상의 어려움이나 애로사항의 청취 및 지도와 조언의 제공, 필요한 지원사항의 파악, 그리고 신규 입사 혹은 부서이동 및 경영환경의 변화에 따른 목표의 조정, 즉 과제형 목표로서의 중점과제의 변경이나 목표 수준의 상. 하향 조정을 위해서.. 2022. 7. 12.
목표 실행점검 면담의 정의와 필요성, 시사점 1. 중점과제의 개념과 중요성 1) 중점과제의 개념 목표는 달성해야만 하는 성과입니다. 목표 설정 실무에서 광의의 목표는 지표형 목표, 과제(정) 형 목표, 핵심 성과항목, 목표 수준, 그리고 가중치 등으로 구성되는 개념입니다. 반면에, 협의의 목표는 과제(정) 형 목표를 의미합니다. 그 이유는 회사의 경영계획에 의해서 하위조직으로 할당되는 결과 중심의 지표형 목표는 팀 단위에서 설정하는 과제(정) 형 목표, 즉 중점과제의 설정과 실행을 통해 달성되기 때문입니다. 이런 측면에서, 목표는 지표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특별한 활동인 중점과제를 의미합니다. 이는 '목표는 희망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업무로 제시되어야 한다'는 피터 드러커의 말과 일맥상통합니다. 이런 맥락에서, 중점과제는 결과 중심.. 2022. 7. 11.
80/20 목표설정 방식의 실무 적용 방법 1. 80/20 목표 설정 방식 80/20 법칙은 "80%의 효과는 20%의 노력으로 얻어진다"는 파레토(Pareto)의 법칙에 뿌리를 둡니다. 파레토는 경제학자인 파레토가 소득과 부의 관계를 연구하던 중 기업 제품의 20%가 전체 매출이나 이익의 80%를 차지하거나 고객 중 핵심 고객 20%가 전체 매출의 80%를 차지한다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80/20 목표 설정 방식은 파레토의 80/20법칙에 뿌리를 둡니다. 그 이유는 조직 혹은 업무에 있어 성과의 80%는 20%의 핵심 업무, 즉 중점과제(프로젝트)가 좌우하기 때문입니다. 이런 까닭에, 성과를 내는 리더는 20%의 중점과제의 선정에 중점을 두고 20%에 노력을 쏟아붓습니다. 이런 맥락에서, 80/20목 표 설정 방식은 '조직 혹은 팀의 목표 달.. 2022. 7.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