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재무19 VC 투자 프로세스 이해: 투자자 발굴 (딜소싱) 방법_1 1. 개요 VC의 투자는 보통 3~6개월의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VC는 발굴된 업체 중 1~2% 선에서 투자를 진행한다. 이는 투자심사 프로세스가 엄격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투자유치를 계획하는 스타트업은 자금이 필요한 시점으로부터 투자유치에 따르는 소요시간을 역산하여 투자유치 활동을 시작해야 한다. 2. 투자자 발굴 (딜소싱) 방법 딜소싱은 VC 입장에서, 잠재 투자대상 기업을 발굴하는 행위를 의미하는 한편, 투자유치를 하고자 하는 기업입장에서 딜소싱은 투자자 접촉 단계를 의미한다. 그렇다면, 투자유치를 계획하고 있는 스타트업은 어떻게 투자자를 접촉할 수 있을까? 최근, 벤처기업협회 및 중소기업진흥공단 등의 각종 보육기관은 데모 데이 및 IR 피칭 행사를 개최하여 투자자와 투자유치 기업이 만날.. 2024. 4. 18. 투자유치 성공 전략: VC 보유 펀드의 투자 목적과 사업분야의 FIT 1. 개요 투자유치를 계획하는 스타트업은 “VC보유 펀드의 투자 목적 분야가 자사의 사업분야와 일치하는가?” 즉, 펀드의 규약이 정하는 주목적 투자분야의 정의에 따라 잠재 타켓펀드의 범위를 설정해야 합니다. 스타트업은 성공적인 투자유치를 위해서 모태펀드 출자사업의 주류펀드 분야에 초점을 맞추어야 합니다. 왜냐하면, 주류펀드는 많은 자펀드를 결성하고 펀드규모도 크기 때문입니다. 2. VC보유 펀드의 투자목적분야와 사업분야의 Fit 방법론 1) 1단계: 펀드의 규모 확인 “모태펀드와 자펀드의 규모를 확인하라” 2019년부터 한국벤처투자㈜는 모태펀드 출자사업을 통해서 결성된 자펀드(VC운용)를 통합적으로 조회할 수 있는 “펀드파인더 사이트’를 오픈했습니다. http://fundfinder.k-vic.co.kr.. 2023. 11. 28. 스타트업 자금조달을 위한 VC 투자유치 전략 1. 개요 스타트업은 성장 단계별 필요한 자금조달을 위하여 모태펀드와 자펀드의 결성과정을 이해하고 VC가 보유하고 있는 펀드의 투자목적 분야가 자사의 사업분야와 일치하는가 그리고 최근에 결성된 자펀드를 보유한 VC를 전략적으로 접촉해야 합니다. 아래에서, VC펀드의 결성과정과 스타트업의 투자유치 전략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봅니다. 2. 펀드 결성과정 및 출자사업 구조 1) VC의 펀드(투자조합) 결성과정 스타트업은 투자유치 금액, 대표자의 성향이나 고민거리 등을 종합적을 고려하여 VC를 선택하여야 합니다. 보통 모태펀드는 정부기관이 공동으로 출자한 펀드를 의미하며, 한국벤처투자㈜는 모태펀드의 위탁운영사가 됩니다. 또한, 위탁운영사는 자펀드를 결성하여 투자재원을 운영하며, VC는 업무집행조합원으로서 자펀.. 2023. 9. 14. 연결재무제표: 지분법 적용시 추가적 고려사항 1. 개요 연결회계 담당자는 종속기업의 순자산 장부금액과 공정가치가 일치하지 않으면서 지배 및 종속기업 간 내부거래 관련 상. 하향 내부거래로 인한 미실현 손익이 있을 경우, '미실현 손익을 먼저 계산한 후, 당해 연도의 내부거래로 인한 지분법이익을 계산'해야 합니다. 다만, 회계담당자는 당해 연도의 지분법 이익을 계산할 때, 하향거래에 대해서는 '미실현손익 전체를 차감'하고, 상향거래에 대해서는 '부분제거'해야 합니다. 이외, 아래에서 일반기업회계기준 상 지분법 적용시의 추가적 고려사항에 대해서 살펴봅니다. 2. 지분법 적용시 추가적 고려사항 1) 지분법 적용시 사용할 종속기업의 재무제표 (1) 신뢰성이 검증된 재무제표의 사용 지분법 적용시 적용하는 종속기업(유의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피투자기업 .. 2023. 8. 28.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