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시작 글
리더는 부하가 자신의 업무 요구사항 혹은 업무목표의 달성을 받아들이고 목표에 몰입하게 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리더는 부하의 목표몰입을 위해서 합리적 설득, 참여, 영감호소, 협력, 이해관계 설명, 비위 맞추기, 개인적 호소, 교환 등의 방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부하는 리더의 행동에 대해서 몸과 마음으로 받아들이고 따르는 동조(conformity), 몸으로만 따르는 순응(compliance), 절대적 복종(odedience) 그리고 저항(resistance)등의 태도로 반응합니다. 물론, 목표의 몰입은 동조를 의미합니다.
2. 목표몰입을 위한 리더의 행동
부하는 리더가 부하의 업무목표 몰입을 위해서 영향력을 행사하는 방법을 사용할 경우 목표 몰입, 복종 그리고 반항 등의 태도로 반응합니다. 즉, 부하는 리더의 업무목표 제시 혹은 업무지시를 수용하고 자발적인 노력을 취하는 몰입, 기본적인 지시사항만 따르는 복종 그리고 리더의 지시를 따르지 않거나 침묵하는 반항 등의 업무태도로 반응합니다.
1) 목표몰입
부하의 목표몰입은 "상사의 업무 요구사항에 동의할 뿐만 아니라 구체적으로 실천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런 경우, 부하는 업무 요구 혹은 지시사항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열정과 주도성(솔선수범, 미래지향적이고 변화지향적인 선제적 업무행동)을 보입니다. 반면에, 상사가 요구하는 일에 대한 열정이나 공감이 없이 주어진 업무를 최소한의 범위 내에서만 수행할 경우, 부하는 목표몰입이 아니라 복종을 통해서 최소한의 노력과 평균적 업무만 수행하려고 합니다.
이와 같이, 목표몰입과 복종의 차이점은 내면화입니다. 목표몰입은 성과향상, 조직몰입 등 긍정적 결과를 가져오는 반면에, 복종은 성과부진, 이직의도 등 부정적 결과를 초래합니다. 물론, 복종은 저항이나 거부보다는 더 나은 결과를 가져온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복잡한 일터 환경에서 리더가 구성원으로부터 몰입이 아니라 복종을 얻어낸다는 것은 효과성과 효율성 측면에서 성과향상을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성과를 내는 리더는 부하의 목표몰입을 이끌어내는 리더십 행동에 집중해야 합니다.
2) 리더의 행동
부하의 목표몰입 향상을 위한 방법론으로 Yukl 등(2008)이 제시한 11개의 영향력 행사 전술 혹은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다만, 구체적 행동은 합리적 설득과 상담(참여)를 중심으로 소개합니다.
- 합리적 설득: 리더가 구체적 자료와 논리적 설득을 바탕으로 행동하는 것
(사실에 근거한 자료 제시, 업무관련 정보제시, 변화의 필요성 설명, 지시사항의 실용성 설명)
- 상담(참여): 부하가 업무 관련 개선점을 제안하도록 유도하거나 도움을 요청하는 것
(부하의 의견 수용, 자유로운 발언 보장, 업무계획 단계에서 참여 기회 부여, 문제해결을 위한 도움 요청)
- 영감 호소: 부하의 감성을 자극하여 목표몰입을 유도하는 것
- 협력: 부하의 목표달성을 위해서 적절한 지원을 제공하는 것
- 이해관계 설명: 리더의 지시를 따르는 것이 구성원 자신의 경력개발 등에서 이 될 수 있음을 이해시키는 것
- 비위 맞추기: 칭찬과 격려를 통해 구성원을 즐겁게 하는 것
- 개인적 호소: 리더와 구성원의 친분을 기반으로 리더의 요구에 응하게 만드는 것
- 교환: 업무수행 결과에 따라서 구성원이 원하는 대가나 보상을 제공해 주는 것
- 합법화: 회사의 규정, 관리지침 등에 근거하여 구성원의 의무를 설명것
- 압력: 상대방을 지속적으로 감시, 위협하여 반응을 이끌어내는 것
- 연합: 업무 관련 전문가 혹은 부하가 존경하는 제삼자를 끌어들여 리더의 행동에 힘을 보태는 행동
.
다만, 많은 연구결과, 전체 11가지 전술 중 합리적 설득, 영감호소, 상담, 협력 등의 리더 행동은 일관되게 목표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이와 같이, 리더는 상대에게 자신의 요구사항을 관철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유형의 영향력 행사 방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리더는 영향력 행사 방법을 사용할 때 대상자의 지위나 니즈(NEED)의 차이에 따라서 서로 다른 방법을 활용해야 합니다.
3. 맺음 글
많은 연구는 직무몰입 및 조직몰입과 같은 태도변수가 긍정적 성과를 예측한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는 자신의 직무에서 심리적으로 느끼는 일체감이나 진지함 등의 태도가 일의 효율성과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고, 순차적으로 매출 등의 업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와 같이, 리더의 영향력 행사 행동은 목표몰입을 가져옵니다. 순차적으로, 목표몰입은 VUCA의 환경에 대처하는 방법으로서 주어진 공식적 업무 외에도 자발적이고 창조적인 업무행동을 유발하여 업무성과를 향상하는 결정요인이 됩니다. 따라서, 일 잘하고 성과를 내는 리더는 영향력을 행사하는 방법을 활용하여 부하의 목표몰입과 업무성과를 향상합니다.
참고문헌:
1. 최세경, & 강정애. (2012). 리더의 하향적 영향력 전술, 목표몰입, 팀 성과 간의 관계.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6(1), 189-216.
2. Yukl, G., Seifert, C. F., & Chavez, C. (2008). Validation of the extended influence behavior questionnaire. The Leadership Quarterly, 19(5), 609-621. 끝.
'성과관리리더십 > 실행과점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이 부하의 부정적 업무태도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 (0) | 2023.06.21 |
---|---|
팀장 업무리더십: 관리자가 코칭과 권한위임을 할 수 없는 이유 (1 of 2) (0) | 2023.04.25 |
팀장 업무리더십: KPI 목표 설정 3_핵심성과항목 선정 방법론 (0) | 2023.01.05 |
팀장 업무리더십: KPI 목표 설정 2_성과항목 도출 방법론 (0) | 2023.01.03 |
목표 실행점검 면담의 종류와 시기 및 절차와 방법 (0) | 2022.07.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