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과관리리더십/목표설정

팀 목표설정을 위한 6단계 방법론

by 우성민박사 2022. 8. 1.
반응형

1. 시작 글

 

 팀 목표 설정에 있어서 핵심은 목표 설정 6단계를 통해서 목표를 구체화하는 것입니다. 목표를 구체화한다는 것은 지표(결과) 형 목표의 달성을 위해서 과제(정) 형 목표로서의 중점과제를 구체화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구체적으로, 목표의 구체화는 성과향상 혹은 업무상의 문제를 개선 혹은 해결하기 위해서 발굴된 과제를 바람직한 목표의 요건에 맞추어 점검하고 다듬어서 목표다운 목표로 가시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피터 드러커는 "목표는 바람직한 희망이 아니라 구체적인 업무로 제시되어야 한다"라고 하면서 과제의 발굴과 구체화를 강조하였습니다. 구체화된 목표는 팀 혹은 개인에게 노력의 방향을 구체화시켜 주기 때문에 목표 설정에 있어서 핵심 성과항목 혹은 핵심 성과지표와 함께 가장 중요한 목표의 구성요소입니다. 그 이유는 이 부분이 잘못 설정될 경우 팀 혹은 개인이 엉뚱한 곳에 노력을 집중함으로써 지표(결과) 형 목표의 달성 가능성이 낮아지고 순차적으로 성과 부진이 초래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맥락에서, 바람직하게 설정된 과제(정) 형 목표는 팀 혹은 개인의 성과를 좌우하는 결정요인이 됩니다. 이런 이유로, 과제(정) 형 목표는 구체적인 중점과제로 제시되어야 하며, 핵심 성과항목 역시 중점과제를 성공적으로 이행하기 위한 핵심 업무활동에서 설정되어야 합니다.

 

2. 팀 목표 설정 6단계 프로세스

 

 그렇다면 중점과제로서의 과제(정) 형 목표는 어떤 과정을 통해서 구체화될까요? 과제(정) 형 목표는 바람직한 목표의 요건을 반영하는 목표 설정 6단계 과정을 통해서 구체화됩니다. 물론, 목표 구체화의 핵심인 중점과제는 QCD(품질, 비용, 납기) 관점을 이용하여 발굴되고 바람직한 목표 설정 요건과 과제의 세분화를 통해서 구체화됩니다.

 

1) 목표설정 1단계

 

 제1 단계는 팀 혹은 개인이 팀 미션 혹은 개인의 직무 미션을 명료화 함으로써 역할과 책임을 명료화하는 단계입니다. 이는 팀 혹은 개인의 성과는 책임, 즉 핵심 성과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역할 수행, 즉 핵심가치의 실행을 통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물론, 핵심가치는 팀 혹은 개인의 핵심 성과목표, 즉 책임을 완수하기 위해서 수행하는 핵심 고유업무를 의미합니다.

 

2) 목표설정 2단계

 

 제2 단계는 업무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과제를 발굴하는 단계입니다. 구체적으로, 팀 혹은 개인은 전사 혹은 사업부 차원의 목표. 전략. 중점 추진과제, 평소 대표자나 상사의 강조사항이나 지시사항, 그리고 내. 외부 고객의 요구사항 등의 외부 요구사항, 전사 혹은 사업부 경영계획의 실행과 관련된 팀 혹은 개인의 고유업무가 요구하는 사항, 그리고 전년도 실적을 성찰하면서 문제가 되었거나 개선해야 할 사항 등을 파악한 후 문제제기를 통해서 문제 해결과 업무개선을 위한 과제를 발굴하는 단계입니다. 즉, 팀 혹은 개인은 상위 조직으로부터 할당받은 지표(결과) 형 목표의 달성을 위해서 업무 요구사항 별로 QCD관점에서 질문을 던짐으로써 나오는 문제 중에서 탐색형 및 설정형 문제를 중심으로 개선 및 예방 혹은 혁신과제를 발굴합니다. 물론, 이 과정에서 팀 혹은 개인은 과제의 발굴을 위해서 문제 해결에서 많이 사용되는 브레인스토밍 방법을 활용합니다.

 

3) 목표설정 3단계

 

 제3 단계는 제2 단계에서 발굴된 과제를 구체화하고 발굴된 과제를 평가하여 중점과제를 선정하는 단계입니다. 구체적으로, 팀 혹은 개인은 도출된 과제에 대한 평가를 통해서 전사 혹은 상위 조직의 성과향상에 직접적이고 효과적으로 기여하는 과제를 먼저 발굴한 후 우선순위 평가를 통해서 중점과제를 3개 전후로 선정합니다. 그 이유는 파레토의 법칙처럼 20%의 중점과제가 90%의 성과를 좌우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팀 혹은 개인은 목표 수준의 100% 달성을 목표로 하기에 설정된 중점과제는 목표 수준을 100% 달성하게 합니다. 그 이유는 팀 혹은 개인이 설정한 목표 수준의 80%는 일상적인 업무 노력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반면에, 목표 수준의 20%는 특별한 활동, 즉 중점과제의 설정과 실행을 통해서 달성되기 때문입니다.

 

4) 목표설정 4단계

 

 제4 단계는 핵심 성과항목(KPI)과 목표 수준(Target level)을 설정하는 단계입니다. 구체적으로, 먼저 팀 혹은 개인은 중점과제의 달성을 위해서 노력을 집중해야 할 행동지침으로서의 핵심 성과항목을 불량률, 공정성, 보고기간 단축, 개발 기한 준수, 고객만족도, 납기 준수 등의 형태로 QCD관점으로 표현합니다. 또한, 팀 혹은 개인은 중점과제의 실행을 위한 업무활동을 프로세스로 나열하고 평가항목을 이용하여 평가한 후 핵심 업무활동을 선택하여 핵심 성과항목으로 설정합니다. 게다가, 팀 혹은 개인은 이 단계에서 중점과제의 성공적 수행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측정기준, 즉 계산식과 계산방식 등을 명료화해야 합니다. 그 이유는 핵심 성과항목은 중점과제의 달성, 즉 성공 여부를 판단 혹은 결정하는 요인이기 때문입니다. 다음으로, 팀 혹은 개인은 전년도의 성과 수준, 시장에서의 경쟁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목표 수준을 도전적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5) 목표설정 5단계

 

 제5 단계는 제4 단계에서 설정된 중점과제 별로 가중치 혹은 중요도를 설정한 후 목표 설정의 적절성을 검토하는 단계입니다. 구체적으로, 팀 혹은 개인은 제4 단계에서 선정된 중점과제에 대해서 우선순위를 고려하거나 해당 업무에 대해서 경험이 풍부한 상사와의 논의를 통해서 가중치 혹은 중요도를 부여합니다. 이 과정에서 팀 혹은 개인은 목표설정 완료 후 목표 설정을 적절성을 확인한 후에 평가자인 상사에게 목표 설정서를 제출합니다. 팀 혹은 개인은 '설정된 목표는 바람직한  목표의 요건에 부합하는가?, 목표는 빠짐없이 목표 설정에서 구조화되었는가?' 등에 대해서 질문을 던짐으로써 목표 설정의 적절성을 확인합니다.

 

6) 목표 설정 6단계

 

 제6 단계는 목표를 최종 확정하는 단계입니다. 이 과정에서 핵심은 합의를 이끌어 내는 것입니다. 합의된 목표는 목표의 내재화를 통해 목표의 몰입과 자주적 업무 행동을 촉진하기 때문입니다. 구체적으로, 상사는 먼저 부하로부터 목표 설정서를 취합하여 부하가 제출한 목표가 목표가 목표 설정의 적절성 확인을 위한 주요 점검사항에 부합하는가를 검토합니다. 그런 다음, 상사는 수 차례의 목표 조정 면담을 반복하면서 부하 스스로가 목표에 대해서 동의하게 함으로써 합의를 이끌어 내야 합니다. 그 이유는 합의된 목표는 내적 동기부여 요인으로 작용하여 부하의 목표 몰입과 열정 에너지를 끌어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맥락에서, 합의된 목표는 동기부여 측면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목표 합의 후 상사는 목표 설정서 3부를 작성하여 확인란에 부하와 본인이 각각 서명한 후 원본은 인사부서에 제출하고 사본은 상사와 부하가 각각 한 부씩 보관합니다. 이는 합의된 목표 설정서가 추후 상시, 수시, 중간점검 혹은 평가 면담 시 성과를 점검하고 피드백하는 데에 활용되기 때문입니다.

 

3. 맺음 글

 

 이상에서,  목표의 구체화를 위해서 팀 혹은 개인이 중점과제로서의 과제(정) 형 목표를 설정하는 6단계 프로세스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과제(정)형 목표로서의 중점과제의 설정은 지표(결과) 형 목표의 달성 가능성을 높여준다는 측면에서 목표의 구체화는 과제의 발굴과 구체화를 통한 중점과제의 선정을 의미합니다. 또한, 중점과제로서의 과제(정) 형 목표는 목표 설정 6단계 프로세스를 통해서 확정됩니다. 이와 같이, 팀 혹은 개인의 목표 구체화는 과제(정) 형 목표 설정 6단계를 따릅니다. 따라서, 성과를 내는 팀 혹은 개인은 목표의 구체화를 통해서 과제(정) 형 목표 설정 6단계에 집중합니다.  끝.

 

함께 읽으면 도움이 되는 글:

목표설정과 팀 목표의 구조화 방법론

발생형,탐색형,설정형 문제의 의미, 사례, 해결방법

SMART 목표설정 원칙: 개념과 사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