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과관리리더십/목표설정

SMART 목표설정 원칙: 개념과 사례

by 우성민박사 2022. 7. 22.
반응형

1. 개요

 

 SMART 원칙은 목표 설정을 더욱 효과적이게 하는 조건들을 의미합니다. 즉, 스마트한 목표는 구체적(Specific)이고, 측정 가능(Measurable)하며, 달성할(Achievable) 수 있고, 현실적(Realistic)이며, 그리고 기한이 정해 있는(Time-bounded) 목표를 의미합니다. 또한, 로크는 목표 설정 이론에서, 도전적이고 구체적인 목표는 구성원의 주의를 목표에 집중시키고, 노력을 스스로 조절하게 하며, 끈기를 증진시키는 내적 동기 요인이라고 하였습니다. 이와 같이, SMART 목표 설정 원칙은 팀 혹은 개인이 목표다운 목표의 설정을 돕는 촉매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성과를 내고자 하는 팀 혹은 개인은 SMART 목표 설정 원칙을 제대로 이해하고, 목표다운 목표를 설정함으로써 성과를 향상해야 합니다.

 

2. SMART 목표 설정 원칙

 

1) Specific_목표는 구체적이어야 

 

 목표는 구체적으로 표현되어야 합니다. 가령, 영업팀에서 매출 극대화를 중점과제로 설정했다면, 이는 구체적이지 못한 모호한 목표의 설정에 해당됩니다. 이런 현상은 중점과제의 범위를 너무 크게 잡은 데에서 비롯됩니다. 이런 경우, 영업팀은 모호한 중점과제를 작은 단위로 분해함으로써 중점과제를 신규 거래처 발굴 혹은 신제품의 매출 확대 등으로 구체화해야 합니다.

 

2) Measurable_목표는 측정 가능해야

 

 목표는 측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목표는 측정과 평가, 그리고 보상을 위한 출발입니다. 만일, 팀이 목표 설정에 있어서 측정기준을 마련하지 않는다는 것은 팀의 순수한 노력에 의한 성과에 대해서 공정하게 평가와 보상을 받지 않겠다는 의지의 표현과 같습니다. 게다가, 피터 드러커는 "측정할 수 없으면 관리할 수 없다"라고 하였습니다. 이런 이유로, 팀 혹은 개인은 지표형 및 과제형 목표의 설정에 있어서 핵심 성과항목(KPI)을 정량화해야 합니다. 따라서, 팀 혹은 개인은 KPI의 정량화를 위해서 계산식과 계산방식 등의 측정기준을 마련하여 합의를 이끌어 내고 공유해야 합니다.

 

3) Achievable_목표는 달성 가능해야

 

 목표는 달성 가능해야 합니다. 피터 드러커는 "목표는 바람직한 희망이 아니라 구체적인 업무로 제시되어야 한다"라고 주장하였습니다. 이런 이유로, 팀 혹은 개인은 중점과제를 구체적으로 제시할 수 있어야 합니다. 만일, 팀 혹은 개인이 중점과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는다는 것은 어떻게 하겠다는 것이 없이 단지 열심히 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하는 것에 지나지 않습니다. 가령, 영업팀에서 지표형 매출 목표로 300 억 원을 설정했다면, 영업팀은 지표형 매출 목표 300 억 원을 달성하기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할까요? 영업팀은 매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신규 거래처 발굴, 신제품 매출 확대, 그리고 대리점 개설 등의 중점과제를 선정하여 실행해야 합니다. 그 이유는 영업팀의 지표형 매출 목표 300 억 원 중 대략 80%는 일상적인 영업활동을 통해서 무난하게 달성할 수 있지만, 나머지 20%는 특별한 활동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이런 맥락에서, 목표의 달성 가능성은 중점과제를 설정했는가와 일맥상통합니다.

 

4) Realistic_목표는 현실적이어야 

 

 목표는 현실적이어야 합니다. 성과를 역량, 의욕, 환경의 함수라고 가정해 볼 때, 팀 혹은 개인은 팀의 역량 혹은 팀원의 지식과 스킬 수준 및 상사의 지원 정도 등의 업무환경과 외부 시장환경 등의 환경적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적절하되 도전적인 목표 수준(target level)을 설정해야 합니다. 가령, 영업팀이 업무환경과 시장환경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매출액 목표 수준을 210 억 원으로 설정했다면 이는 현실적인 목표 설정에 해당하지만, 업무환경과 시장환경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지 않고 매출액 목표 수준을 300 억 원으로 설정하였다면 이는 비현실적인 목표 설정에 해당되는 것입니다.

 

5) Time-bounded_목표는 완료 기한이 있어야

 

 목표는 수행 완료 기한을 제시해야 합니다. 대개의 경우 성과관리의 주기가 1년 혹은 반기인 이유로 완료 기한은 생략됩니다. 이런 이유로, 목표 설정서 상에 완료 기한은 표시되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완료 기한의 표현이 필요하다면 완료 기한은 목표 설정서 상의 비고란에 명기되면 될 것입니다. 따라서, 팀 혹은 개인은 목표의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서 목표 설정 완료 후 실행계획을 수립하면서 중점과제 별로 완료 기한을 월별, 분기별, 반기별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실행에 집중해야 합니다.

 

3. 맺음말

 

 이상에서  SMART 목표 설정 원칙의 정의를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습니다. 좋은 목표의 요건으로서의 SMART 목표 설정 원칙은 목표의 내재화를 통해 팀 혹은 개인을 동기 부여하는 내적 동기 요인입니다. 또한, 통제 가능성과 도전성은 또 다른 좋은 목표의 요건입니다. 통제 가능성은 팀 혹은 개인의 고유업무 내에서 목표를 설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통제 가능성은 팀 혹은 개인이 고유업무 내에서 목표를 설정함으로써 팀 혹은 개인의 순수한 노력에 의한 성과에 대해서 공정하게 평가보상을 받도록 합니다. 또한, 도전성은 도전적으로 목표 수준을 설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도전성은 팀 혹은 개인이 도적적인 목표 수준의 설정과 실행을 통해서 조직의 성과향상에 기여하도록 합니다. 이와 같이, 좋은 목표의 요건은 성과향상을 돕습니다. 따라서, 성과를 내는 팀 혹은 개인은 좋은 목표의 요건을 제대로 이해하고 제대로 된 목표를 설정하는 데에 집중합니다.    끝.

 

함께 보시면 좋은 관련 글: 

직원을 춤추게 하는 좋은 목표의 조건: 목표의 동기부여 역할

반응형

댓글